Developer J

kh정보교육원 7, 8, 9일차 후기 본문

국비학원 일상

kh정보교육원 7, 8, 9일차 후기

Developer J 2020. 1. 16. 00:10
반응형

7일 차 - 불편함은 배움을 원하게 만드는 원동력

점점 실습과 과제의 어려워지는 게 느껴진다.

<과제>

음식 메뉴판을 출력해 보여주고 번호로 주문을 하고, 수량을 입력한다. 그 후 가격을 계산해 주문내역을 출력한다.

배운 내용 안에서 이 내용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 조차 막연했다. 하지만 한번 해보자는 생각으로 결국 완성했다.

그때의 성취감은 짜릿했다. 별거 아닌 코드지만 처음으로 길게 쳐본 코드가 성공적으로 구현되자 좋았다.

코딩을 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끼면서 자바에 대해 더 알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이유는 간편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싶기 때문이다.

if, for문은 배운 이후로 계속 꾸준히 쓰이는 것 같다. 비전공자로 java국비과정을 시작한다면 꾸준한 복습을 추천한다.

 

8일 차-배열-정렬 알고리즘(순차 정렬)

7일 차에 했던 과제를 배열을 이용해 해결한 사람들이 있었다. 드디어 그 배열을 8일 차에 배웠다. 

int [] arr = new int[3];
int arr [] = new int[3]; // 두개는 같다.
int [] arr = {1,2,3,4}; 이런 식으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가 가능하다.
int [] arr = new int[]{1,2,3,4};

0,1,2,3 총 4개의 기억 공간을 가진 arr를 만들었다.

저장 공간에는 stack heap이 존재한다. arr는 stack영역에 존재하는 참조 변수이고 arr는 heap영역에 존재하는 저장공간을 4개 가지고 있다. 그에 해당하는 주소 값을 arr가 가지고 있어서 arr를 사용해 배열 안에 값들을 가져올 수 있다.

 

순차 정렬을 배우면서 '컴퓨터는 이렇게 여러 숫자의 크기를 비교해 배열하는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for(int i = 0 ; i < iarr.length; i++) {
	//인덱스가 증가 할때 마다 처음부터 해당 인덱스 까지의 값을 비교하는 반복문
	for(int j= 0; j<i ; j++) {  //i=0일때는 이 for문 동작 안함.
		System.out.println("현재 인덱스 위치: "+j+", "+i);
		//오름차순 정렬
		f(iarr[j] > iarr[i]) {
		System.out.println("교환이 발생");
		int temp;
		temp = iarr[i];
		iarr[i] = iarr[j];
		iarr[j] = temp;
	}}}

9일 차- 이차원 배열

이차원 배열 실습은 수학을 하는 것 같다. 이차원 배열을 사용해서 특징 있는 숫자들의 나열을 하기 위해서는

숫자들 사이의 관계를 찾아내고 그것을 어떻게 코드로 적용시킬지 고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행과 열을 가진 이차원 배열을 index로 가리키는 위치를 생각하며 고민을 참 많이 했다.

문제를 풀 시간이 조금 더 여유롭게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스스로 풀어보고 싶었지만 해설을 해주셔서 답을

알게 되었다. 다른 친구도 좀 더 개인적으로 고민하고 풀어 보고 싶었는데 수업 중에 답을 알게 되어 아쉽다고 했다.

1   2  3  4  5
10  9  8  7  6
11  12 13 14 15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이런 식으로 숫자의 배열을 이차원 배열을 사용해 출력하는 실습이 어려웠다. 이차원 배열의 개념을 설명 듣고 바로 적용하려고 하니 잘 되지 않았다. 옆 친구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했지만 스스로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았다.

 

비전공자들의 경우 주변의 전공자 친구들이 있기 때문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전공자 친구들은 쉽게 문제를 풀고

다음 문제를 기다리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옆에서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생각을 유도해주는 전공자 친구 덕분에

도움이 많이 된다.

 

다른 반의 세미프로젝트를 봤는데 '파이널 프로젝트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3달 후 과연 내가 이걸 만들 수 있을까?'라는 생각과 '3개월 후면 저 정도를 만드는 실력이 생기는구나'라는 생각도 들었다.

반응형